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0

[경영기획 담당자 입문기] 매출액과 매출원가, 매출총이익 간단히 생각해 보자. 제조업 기업이 제품을 많이 만들어, 많이 팔면 당연히 이익도 늘어나는 것이 아닐까? 물론 매출액이 늘어나는 것은 맞다. 다만, 늘어난 매출이 전부 이익의 상승분으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다. “이번 달에는 판매가 늘었는데, 왜 손익이 안 좋아진 건가요?”“원재료 매입 단가가 상승하여 영업이익이 하락하였습니다.”  제조업 기업이 판매하는 제품은 공짜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들어간 비용을 곧 ‘원가’라고 하는데, 이러한 비용들까지 고려해야 회사의 영업에 따른 손익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 매출과 매출원가매출액이란, 말 그대로 판매를 통해 기업이 벌어들인 금액을 말한다. 매출의 유입 경로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품/상품을 판매한 매출에.. 2024. 4. 29.
[경영기획 담당자 입문기] 기업의 성과지표(매출총이익/영업이익/당기순이익) 기업의 재무제표 중 경영기획 담당자와 가장 연관이 깊은 한 가지를 꼽으라면, 단연 ‘손익계산서’를 꼽을 것이다. 경영기획은 회사의 실적을 관리하고 추정하는 업무가 주를 이루며, 경영진이 가장 관심을 가지는 경영 실적은 단연 손익이기 때문이다. (※ 손익 = 손실과 이익을 함께 지칭하는 말) 그런데 문제는, 이런 손익에 관련된 지표가 한 두 가지가 아니라는 것이다.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영업외손익, 당기순이익…  대체 각각의 지표는 무슨 차이가 있는걸까? 이번 기회에 한번 정리해 보기로 했다. 매출총이익(손실) = 매출액 - 매출원가매출총이익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뺀, 손익계산서의 최상단에 위치한 최초의 손익이다. 매출액은 말 그대로 제품/상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한 금액이며, 판매 단가와 판매 수량을 .. 2024. 4. 28.
[경영기획 담당자 입문기] 경영실적의 관리와 추정 앞서 경영계획은 회사가 1년간의 영업을 하는 가이드라인으로서 기능한다고 언급했었다. 그렇다 보니, 경영기획 담당은 경영계획을 기준으로 사업이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를 수시로 체크한다.1. 경영실적의 보고 및 공유“이번 달에는 계획 대비 손익 실적이 얼마나 되죠?” “판매량은 목표 대비 달성률이 어떻게 되나요?”  경영기획 담당자는 수립된 목표와 계획에 대비하여 경영 실적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를 상시 점검하여 회사의 경영진과 유관 부서에 보고 및 공유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모두 앞선 포스팅에서 설명한, 관리회계의 영역이라고 보면 된다. 실적 관리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지지만, 가장 중요한 부분은 계획과 실적과의 차이 분석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 내/외부의 상황은 변화무쌍하기 때문에.. 2024. 4. 27.
[경영기획 담당자 입문기] 경영계획의 수립 오늘은 경영기획 업무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경영 계획의 수립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경영계획 수립 프로세스대부분의 회사가 그렇겠지만, 내가 소속된 회사의 경우 1년 단위의 경영계획을 연/월 단위로 수립한다.경영기획 담당자라고 해서, 경영계획을 A부터 Z까지 모두 수립하는 것은 아니다. 쉽게 말해 경영기획 담당자는 계획 수립의 컨트롤 타워라고 할 수 있다. 잠시 경영계획 수립의 프로세스를 간략히 설명해 보겠다. 먼저 경영기획 담당자가 기업 내/외부의 각종 정보를 바탕으로 가이드라인을 수립하여 영업/구매/생산 등 사업 부서에 이를 공지한다. 사업 부서에서는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세부적인 계획을 수립한다. (판매계획/구매계획/각종 비용계획). 이렇게 수립된 세부 계획들을 취합하여 정량적인 숫자(.. 2024. 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