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대표적인 주식 관련 지표인, PBR에 대해 알아보자.

PBR이란?
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지금의 주식 가격이 적정한가?’ 하는 고민을 많이 하게 된다. 주식 투자로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싼값에 매수하여 비싼 값에 매도해야 하므로, 적정한 가격에 대한 고민은 당연하지 않을까 싶다.
주식 가격의 적정성을 판단하는 지표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 대표적인 방법이 바로 “기업의 장부가치”와 현재 주가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간편하게 확인하기 위해 PBR이라는 지표를 활용한다.
PBR은 Price Book value Ratio의 약자로, ‘주가순자산비율’이라고도 한다. 즉 주식의 가격(Price)을 해당 기업의 주당장부가치(이하 BPS, Book value Per Share)로 나눈 값이 PBR이다.
여기서 잠깐, 기업의 장부가치(Book value)란 무엇일까? 기업의 자산 총액에서 부채 총액을 뺀, 순자산을 의미한다. 기업의 자산을 모두 처분하여 부채를 갚는다고 가정했을 때 남는 금액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기 때문에, 청산 가치라고 불리기도 한다. BPS는 이러한 기업의 장부가치를 시중에 발행된 총주식 수로 나눈 값이라고 이해하면 되겠다.
여기서 또 한 가지의 팁은, 복잡하게 발행 주식 수를 거치지 않고 PBR = 시가총액 / 장부가치 총액으로 나누어 계산하는 방법도 있다. 시가총액이 결국 현재 주식의 1주당 가격에 발행된 총주식 수를 곱한 값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가총액과 장부가치 총액을 비교하는 것만으로도 손쉽게 PBR을 구할 수 있다.
PBR = 1주당 가격 / 주당 장부가치(BPS) = 시가총액 / 장부가치 총액
PBR, 어떻게 활용하나?
PBR은 주식의 1주당 가격을 BPS로 나눈 값이기 때문에, 주식의 가격이 주당 장부가치에 비해 어느 정도 수준인지를 나타낸다.
즉 PBR이 1이 넘는 주식이 있다면 주당 장부가치에 비해 주가가 높게 책정되어 있다는 뜻이고, 1 미만일 경우 주당 장부가치에 비해 낮은 가격이 책정되어 있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많은 투자자는 기업가치에 비해 저평가된 주식을 찾을 때, PBR 1 미만을 기준으로 두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
기업의 자산 가치는 곧 기업의 재무 상태를 나타내는 척도다. 순자산가치가 높다면 보다 탄탄한 재무구조를 가진 회사로 보는 개념이다. 쉽게 말해 PBR 지표를 참고하면, 주식의 가격이 기업 자산 가치에 비해 고평가되어 있는지, 저평가 되어있는지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BR의 한계점
다만 PBR만으로 주가의 적정성을 판단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크게 두 가지 이유를 들어보면,
첫째, 기업의 순자산가치가 크다고 하여 반드시 기업의 이익이 높은 것은 아니다. PBR은 현재 기업의 자산가치만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기업의 미래가치와 경영실적을 대변하는 이익지표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당기순이익 등). 계속해서 적자를 내는 회사라도 자산 가치만 높으면, PBR은 낮게 측정되어 자칫 저평가되었다고 잘못 판단하게 될 수 있다.
둘째, 기업의 현금흐름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 PBR을 판단하는 데에 활용되는 자산 총액에는 현금성 자산만 포함된 것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PBR만 가지고는 최근 현금흐름이 좋지 않은 기업을 걸러내기 쉽지 않다는 한계점도 있다.
결론
다소 한계점이 있기는 하지만, PBR은 여전히 주가의 적정성과 기업의 안정성을 판단하는 유용한 척도 중 하나다.
하나의 지표에 매몰되기보다는, PBR과 함께 PER(주가수익비율, Price Earning Ratio), ROE(자기자본이익률, Return on Equity) 등의 이익 관련 지표와 함께 검토한다면 보다 정확한 투자의사 결정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ROE와 PER에 대하여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자세히 설명해 보도록 하겠다.
'주식 기초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주식 기초 용어] ROA와 ROE (0) | 2024.04.17 |
|---|---|
| [주식 기초 용어] PER : 기업의 이익과 주식 가격의 상관관계 (0) | 2024.04.16 |